[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깨달음의 경지로 가는 '도<道>'의 길
불교에서 윤회를 벗어나서 해탈을 하기 위해서는 팔정도(八正道)를 우선 이해하여야 한다. '팔정도'는 불교에서 깨달음의 경지인 '열반(涅槃.번뇌가 소멸한 상태 또는 완성된 깨달음의 세계를 의미하는 불교의 교리)'에 이르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여덟 가지 덕목을 말하는데, 계정혜(戒定慧)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것을 삼학(三學)이라고 한다. 계학(戒學)이란 정어(正語), 정명(正命), 정업(正業) 즉, 바른 말, 바른 생활, 바른 일을 의미하며, 정학(定學)이란 정정(正定), 정념(正念), 정정진(正精進) 즉, 바른 집중, 바른 알아챔, 바른 노력을 뜻하고, 혜학(慧學)이란 정견(正見), 정사(正思) 즉, 바른 견해, 바른 사유를 가리킨다. 따라서 삼학은 '괴로움으로부터 자유'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수행 방법이다. 중요한 석가모니 가르침에 '사성제'라고 있다. 이는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으로 고(苦), 집(集), 멸(滅), 도(道)라는 사성제(四聖諦)를 제시하면서 세계는 고통(苦)이며, 고통의 원인(集)은 욕망이고, 고통을 소멸(滅)하기 위한 길(道)을 통해 열반(涅槃)에 이르러야 한다고 설파했다. 그러므로 '팔정도'는 '사성제'를 해결하는 도(道)의 길이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라고 했다. 이 말은 도(道)를 도라고 말할 수 있으면, 이미 영원한 도가 아니다. 도(道)를 통달한 자에게 도통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틀린 표현이다. 그가 도를 통했는지 알 수도 없거니와 설령, 도를 통했어도 함부로 도란 말을 사용하면 안 된다. 도라는 자체가 이미 인간의 인식을 뛰어넘은 표현인데 범인들이 도를 운운한다는 자체가 틀린 것이다. 도가 눈에 보이는 것도 아니고, 그 신성한 세계에 토를 다는 것조차 어리석은 것이다. '일미진중함시방(一微塵中含十方)'이란 표현이 있다. 화엄경 법성게 가운데 나오는 말로, 먼지 한 톨 속에 우주가 다 들어간다는 뜻이다. 그 이유는 이 세상 만물의 모습이 '시방(十方.사방(四方), 사우(四隅), 상하(上下)를 통틀어 이르는 말)'에 편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도(道)는 '깨달음'일까? 조계종의 현응스님은 "잘 이해하는 깨달음"이라고 표현한다. 즉, '반야지(般若智)'라는 것이다. 반야와 지는 서로 같은 뜻인데, 이를 강조하기 위해서 반야지라 한다. 반야지는 '미망(迷妄.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맴)'과 고통의 세계를 극복하고, 평화와 안락한 극락세계로 돌아오는 지혜를 의미한다. '깨달음'이란 공(空)과 연기(緣起)를 이해하는 것이라 한다. 스님에 따르면 '깨달음'은 지혜와 이해의 영역이며, '선정수행(禪定修行.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모으기 위해서 온갖 잡념을 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통해 이르는 몸과 마음의 높은 경지를 뜻함이 아니라고 했다. 이 말에 선정수행을 하는 분들의 비판을 많이 받았다. 그 이유는 불교의 '삼학'은 '계정혜'인데 마치 정(定)을 무시하는 듯한 말이기에 비판을 받은 것 같다. 스님은 '깨달음'을 잘 얻기 위해서는 설법과 질의응답, 토론, 경전과 어록 열람, 불교를 풍부하게 하는 다양한 독서 등이 현대적인 수행법이라 했다. 조계종의 '조계선풍'은 육조 혜능스님이 정립했는데, 그 정신의 요지는 돈오(頓悟) 즉, 단박에 깨닫는 것이라고 했다. 스님은 부처님의 당시 가르침에서부터 2600년간 형성된 불교의 가르침을 두루 살펴야 하는데, 그중 가장 유용한 가르침은 '대승불교'와 '조계선풍'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간결하면서도 직관적이며 본질을 꿰뚫는 선적인 안목은 오늘날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화들을 단숨에 재정리하여 새롭게 통합시키는 안목을 낳는다고 한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깨달음 경지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오늘날 현대사회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